in ,

스승의날과 세종대왕 10대 80%는 모른다?

안녕하세요, 퀴즈 애호가 여러분! 퀴즈에브리띵입니다. 😊 매년 5월 15일, 우리는 스승의 은혜에 감사하는 ‘스승의 날’을 기념합니다. 그런데 이 스승의 날이 우리가 존경하는 역사적 위인, 세종대왕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놀랍게도 많은 분들이 이 연결고리를 잘 모르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의 탄신일인 이유와 그 유래, 그리고 백성을 사랑한 성군 세종대왕의 빛나는 업적들을 함께 알아보고, 재미있는 퀴즈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어쩌면 당연하게만 여겼던 스승의 날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고, 겨레의 큰 스승이신 세종대왕께 다시 한번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을 거예요.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퀴즈를 먼저 풀어보고 싶은 분들은 아래 시작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본론: 스승의 날과 세종대왕, 그리고 위대한 업적 이야기

1. 5월 15일 스승의 날, 세종대왕과 어떤 관계일까요?

우리가 스승의 은혜를 기리는 5월 15일 스승의 날은 바로 겨레의 참 스승으로 존경받는 세종대왕께서 태어나신 날입니다. 1965년부터 교원 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스승 중 한 분인 세종대왕의 정신을 본받자는 의미에서 그분의 탄신일을 스승의 날로 정하게 된 것이죠.

최근 정부는 이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며, 단순한 스승의 날을 넘어 ‘세종대왕의 업적을 기리는 날’로서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하지만 한 국민 생각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약 8명(76.3%)이 5월 15일이 세종대왕 탄신일이라는 사실이나 스승의 날과의 관계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10대의 경우 인지율이 16.7%로 가장 낮았다고 하니,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면 좋겠죠?

2. 스승의 날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스승의 날의 시작은 생각보다 더 따뜻한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국가기록원 자료에 따르면, 스승의 날은 1958년 충청남도의 한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이 병환 중에 계신 선생님을 보살펴드린 봉사 활동에서 시작되었다고 해요. 이 아름다운 마음이 점차 확산되어, 1964년에는 5월 26일이 ‘은사의 날’로 정해져 기념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다가 1965년, 앞서 언급했듯이 교원 단체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 민족의 위대한 스승이신 세종대왕의 탄생일인 5월 15일로 날짜를 변경하고 ‘스승의 날’로 명칭을 정해 오늘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3. 겨레의 참 스승,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들

세종대왕의 수많은 업적은 무엇보다 백성을 깊이 사랑하는 마음(애민정신)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 주요 업적들과 국민들의 인지도를 함께 살펴볼까요?

  • 파격적인 출산 휴가 및 복지 정책 강화:
    • 1426년, 관청 여성 노비의 출산 휴가를 기존 7일에서 무려 100일로 대폭 늘렸습니다.
    • 1430년에는 아이를 낳은 달의 전후로 총 130일의 출산 휴가를 부여했습니다.
    • 더 나아가 1434년에는 출산한 여성 노비의 남편에게도 30일의 출산 준비 및 육아 휴가를 주어, 당시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선진적인 복지 정책을 펼쳤습니다. (국민 60.7% 인지)
  • 최초의 대규모 여론 조사 시행:
    • 1430년, 무려 5개월에 걸쳐 전국의 백성 17만여 명을 대상으로 논밭 세금 제도(공법)에 대한 의견을 묻는 대규모 여론 조사를 세계사적으로도 매우 이르게 시행했습니다.
    • 조사 결과 찬성 9만 8,657명, 반대 7만 4,148명이라는 구체적인 데이터를 얻어 정책에 반영하려 노력했습니다. (국민 58% 인지, 10대는 36.3%로 낮은 인지도)
  • 농업 장려 정책 – 『농사직설』 편찬:
    •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농사법을 기록한 책 『농사직설』을 편찬하여 지역별 농사 기술과 계절별 농작물 재배 방법을 체계적으로 보급했습니다. 이는 농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국민 63.8% 인지)
  • 인재 양성 정책 – 집현전과 사가독서:
    •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여 학문 연구의 중심지로 삼고 수많은 학자를 길러냈습니다.
    • 능력 있는 학사들에게는 업무 부담에서 벗어나 오로지 독서와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특별 유급 휴가인 ‘사가독서(賜暇讀書)’ 제도를 시행했습니다. (국민 82.2% 인지)
  • 과학 기술 수준 향상:
    • 천문 관측 시설인 간의대(簡儀臺)와 자동 물시계 등을 갖춘 종합 과학 연구소인 흠경각(欽敬閣)을 설치했습니다.
    •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역법(달력 계산법)인 『칠정산(七政算)』을 만들어 과학 기술 수준을 세계적인 반열에 올렸습니다. (국민 84.0% 인지)

이 퀴즈 어땠나요?

83 Points
Upvote Downvot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단어추리퀴즈

풀수록 똑똑해지는 마법! 상식 UP, 어휘력 UP, 재미도 UP!